자기자본이익률(Return On Equity, ROE)는 기업이 자본을 활용하여 이익을 얼마나 냈는지 나타내는 지표로, 당기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누어 구한다.
가령 한 해 동안 2,000만원의 당기순이익을 낸 회사의 자본총액이 1억원 이라면 ROE 는 20%가 된다.
배당을 하지 않는 다면 2,000만원의 당기순이익은 자본총액에 가산되어 1억 2천만원이 되고 2년차가 되면 14,400원 으로 증가하여 아래와 같은 증가를 보이게 된다.
단위 : 만원
연차 | ROE | 순이익 | 전년대비 순익증가 | 자기자본 |
0년차 | 10,000 | |||
1년차 | 20% | 2,000 | 0 | 12,000 |
2년차 | 20% | 2,400 | 400 | 14,400 |
3년차 | 20% | 2,880 | 480 | 17,280 |
4년차 | 20% | 3,456 | 576 | 20,736 |
5년차 | 20% | 4,147 | 691 | 24,883 |
6년차 | 20% | 4,977 | 829 | 29,860 |
7년차 | 20% | 5,972 | 995 | 35,832 |
8년차 | 20% | 7,166 | 1,194 | 42,998 |
9년차 | 20% | 8,600 | 1,433 | 51,598 |
10년차 | 20% | 10,320 | 1,720 | 61,917 |
워렌버핏은 ROE 가 매년 20% 유지되는 기업이 최상이라고 보았는데, 해당 주주의 자산가치는 4년 만에 2배로 증가하고 10년이면 6배를 돌파하게 된다.
ROE 가 하락하게 되는 경우 배당성향을 높이게 되면 자기자본의 증가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 높은 ROE 유지가 가능하고 자사주 매입도 좋은 방법이다.
이 처럼 높은 ROE 를 유지하고 있는 기업을 찾아보는 것이 성공적인 주식투자의 첫걸음이 된다.
최고의 주식들은
수익성 지표인 ROE가 최소 17%를 넘었다.
- 윌리엄 오닐 -
'자산관리 (Wealth Management) > 투자 (Invest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세한 지출분석과 구체적 예산, 자기주도 투자법 (3) | 2023.03.22 |
---|---|
최고수익률 투자상품 (0) | 2023.03.14 |
좋은 아파트, 좋은 집을 고르는 방법 (0) | 2023.03.06 |
투자와 세금, ISA (0) | 2022.06.11 |
미술품 투자 (0) | 2022.05.31 |
가상화폐의 진화, ICO의 확산과 규제 (0) | 2019.09.02 |
KG ETS (151860) 비싼 폐기물 처리단가 그러나 주가는 싸다 (0) | 2019.08.31 |
포스코케미칼(003670) 1위 고객사의 매력적인 제안 (0) | 2019.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