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산관리 (Wealth Management)/투자 (Investment)22

가상화폐의 진화, ICO의 확산과 규제  스마트 컨트랙트 도입으로 가상화폐는 블록체인 비즈니스의 핵심 매개체로 진화 • 스마트 컨트랙트 도입과 함께 가상화폐는 지급결제 수단뿐만 아니라 다양한 비즈니스에서도 응용 가 능해지면서 블록체인을 이용한 플랫폼 기반 비즈니스 확장이 가속화 됨 • 가상화폐는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화폐의 기능뿐만 아니라 투자자에게 미리 발행하여 자금 조달도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화폐와 다른 관점에서 접근이 필요  새로운 자금조달 방법으로 떠오른 ICO는 현재 계속 발전 중이며, 이에 대한 관심이 필요 • 가상화폐를 이용하여 손쉽게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ICO가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으나 투자자 보호는 아직 미흡한 실정 • 현재 블록체인 산업의 자금조달은 ICO 위주로 이루어지면서, 블록체인 기술이 발전 .. 2019. 9. 2.
KG ETS (151860) 비싼 폐기물 처리단가 그러나 주가는 싸다 폐기물 수집 및 처리 업체 폐기물 처리 업체다. 환경에너지사업(18년 59%, 스팀, 폐기물), 신소재(30%,산화동, 텅스텐), CS에너지(10%, 바이오중유) 사업을 영위한다. 18년 별도 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 각각 +2%, 14% YoY 기록했다. 18년 6월 CS에너지 인수(100%) 후 연결 기준 매출액 +14%, 영업이익 -1.4% YoY를 기록했다. 투자포인트: 1) 폐기물 처리 단가 +20%, 2) 바이오중유 실적 개선 1) 중국의 환경규제 이슈로 폐기물 수입 금지, 2) 매립지 포화(매립단가 상승)와 한정된 폐기물 처리 업체의 영향(정부의 인허가 이유로 폐기물 사업체 제한적)으로 폐기물 처리 단가는 지속 상승할 전망이다. 18년 폐기물 처리 단가는 +18% YoY, 19년 高단가인 지정.. 2019. 8. 31.
포스코케미칼(003670) 1위 고객사의 매력적인 제안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61,000원 제시: 포스코케미칼에 대해 매수의견과 목표주가 61,000원을 제시한다. 2020년 추정 EPS에 목표 PER 28배를 적용했다. 목표 PER 28배는 포스코케미칼의 컨센서스 기준 12MF PER의 역사적 상단이다. 포스코케미칼은 국내 EV용 배터리 1위인 LG화학의 양극재/음극재 first vendor가 되고 2020년 고객사의 2차전지 사업 확대로 소재 매출액이 7,714억원으로 170%에 달해 높은 밸류에이션을 받을 수 있다. 캐파 증설이 빠른데 음극재용 천연흑연 생산능력은 2023년까지 연평균 37% 증가하고 양극재 생산능력은 50% 확대된다. 포스코케미칼의 양극재는 전량 LG화학에 공급되고, LG화학의 동기간 EV용 배터리 생산능력 증가율 45%에 부합.. 2019. 8. 31.
투자자 기능 돈의 기능을 볼때 전통적으로 크게 세가지로 구분한다. 첫째는 교환의 매개기능으로서 물건과 물건 또는 서비스 간의 중간 지점에서 쉽게 교환이 되도록 하는 기능이다. 둘째는 가치의척도 기능인데 중요도를 가늠하여 교환의 비율을 정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저장수단인데 현재의 구매력을 미래에도 유지하는 기능이며 굳이 물건을 쌓아 놓을 필요 없이 가치를 저장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가치 그렇다면 가치란 무엇인가? 경제학적으로는 상품이나 재화의 효용으로 정의되며 값어치를 의미하는 교환가치와 주관적 만족도를 의미하는 사용가치로 구분된다. 가치라는 것을 창출하는 재화나 서비스를 만드는 행위를 생산이라고 하며 전통적으로 토지, 자본, 노동이라는 요소의 결합으로 보았다. 우리 사회는 부족한 자본 때문에 노동.. 2019. 8. 31.
셀트리온(068270) 하반기 실적성장 기대 2Q19 Review – 무난한 실적 셀트리온의 연결기준 2Q19 실적은 매출액 2,350억원(-10.8% YoY, +6.0% QoQ), 영업이익 834억원(-21.2% YoY, +7.8% QoQ), 영업이익률 35.5%(-4.6%p YoY, +0.6%p QoQ), 당기순이익 782억원(-5.6% YoY, +24.2% QoQ), 순이익률 33.3%(+1.8%p YoY, +4.9%p QoQ)를 기록하였다. 졸레어(Xolair) 바이오시밀러 CT-P39 임상물질 생산에 따른 비용집행에도 불구하고 수익성 높은 제품의 견조한 매출 발생에 기인하여 무난한 실적을 시현하였다. 제품별 매출액(%)은 램시마SC 635억원(27%), 트룩시마 870억원(37%), 허쥬마 282억원(12%) 기타 564억원(24%)을 기.. 2019. 8. 31.
슈피겐코리아(192440) 하반기를 기대하자 2Q19 Preview 슈피겐코리아 2Q19 실적은 매출액 630억원(+13% yoy), 영업이익 85억원(-16% yoy, OPM 14%)로 예상대비 부진할 전망이다. 케이스 판매량 상승으로 두 자리 수 매출 성장은 지속되겠으나 직접 진출 지역 확대 및 사업 양수에 따른 판관비 상승으로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하락이 예상된다. 신규 브랜드 출시에 따른 등록 비용 등 일회성 비용도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상저하고 실적 기대 하반기에는 주력 모델 출시 효과, 인도 지역 확장 등으로 상반기 대비 양호한 실적이 예상된다. 동사 실적은 하반기 신규 모델 출시 및 성수기 효과로 통상 하반기에 좋은 모습을 기록해왔다. 올해에도 3분기 갤럭시 노트 10, 4분기 아이폰 11 출시가 예정되어 있어 하반기 주력 케이스.. 2019. 8.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