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산관리 (Wealth Management)/경제 (Economics)

6월 이슈_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by 플랜닥 2022. 6. 15.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2022년 5월 무역수지 적자 -17.1억 달러
 
- 수출 : 615.2 억 달러 (21.3% 증가)

- 수입 : 632.2 억 달러 (32.0% 증가)
 

우크라이나 전쟁과 미국금리 인상의 결과로 살림살이에 빨간 불이 켜졌다.

우리나라의 경제환경이 요동치는 중이다.

5월에도 최고 수준의 수출액을 기록했지만 수입액이 그 전해보다  32%가 늘어나서 17억 달러 정도의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했다.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 당시에 3개월 연속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했는데 금년에 3개월 연속을 기록한 것이다.

 

 

이미지출처 : 한국일보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고(高) 물가상승과 실직, 경기 후퇴가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그 정도가 심할 경우 '슬럼프플레이션'이라고도 한다  



3개월 무역수지 적자 때문에 경기침체를 염려하고 우크라이나 전쟁 발 원재재 가격 폭등으로 인플레이션을 일으키니 스태그플레이션 이란 단어를 떠올리게 한다.

 

외환보유고가 4천억달러를 상회하고 있어 국가적으로 큰 어려움이 없다고 이야기 하겠지만 서민층에겐 큰 부담이 될 것이다.

원화가치가 하락하면 물가상승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금리상승을 압박하게 된다.

한국은행은 연말 기준금리를  2.5% 정도로 언급했지만 미국 금리가 연말에 3% 정도로 오른다면 한국 금리는 그 이상으로 인상해야 할것이다.

고물가와 고환율과 고금리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우리 사회의 가계부채는 신용카드 채무 포함 1900조 정도 이다.  

대외여건은 어려운 방향으로 치닫고 있고

특히 과도한 대출로 부동산을 구입한 계층은 하우스푸어로 전락하게 될지도 모른다.

자산관리적 관점에서 볼때 겨울이 시작되고 있다.

내가 옷을 입은 상태인지 벗은 상태인지 또는 어떤 옷을 입은 상태인지 점검이 필요하고 어려운 시기를 버텨낼 포트폴리오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자산관리 (Wealth Management) > 경제 (Econom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월발언과 강한 미국 고용  (0) 2023.03.09
Powell 의장의 매파적 발언  (0) 2023.03.08
테일러의 준칙 [Taylor's Rule]  (0) 2023.02.11
2월 지표점검  (0) 2023.02.07
1월 지표점검  (4) 2023.01.08
6월 리뷰 및 전망  (0) 2022.06.13
5월 리뷰 및 전망  (0) 2022.05.15
5월 이슈_인플레이션  (0) 2022.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