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산관리 (Wealth Management)75

최근 한국이 급격히 일본을 닮아가고 있다 “최근 한국이 급격히 일본을 닮아가고 있다. 한국 청년들이 사랑하는 일을 찾지 않고, 무조건 안정적인 공무원이나 대기업만 쫓을 경우, 5년안에 활력을 잃고 몰락의 길을 걸을것” 1972년 조지소로스(Soros)와 함께 퀀텀펀드를 만들어 10년간 4200% 수익률을 올린 ‘투자의 전설’로 불리는 짐로저스 회장이 한국의 한 언론과 인터뷰 한 내용이다. 짐로저스는 2년 전에 “통일한국에 전 재산을 투자하겠다” 라고 말하여 센세이션을 일으킨바 있었지만 한국 명문대생이 대학을 자퇴하고 공무원이 되는 등 공무원 열풍이 불고 있다는 소식을 접하고 한국 주식시장에 더이상 투자하지 안겠다며 실망감을 토로하고 있다. 소위 5년안에 망할 것이라는 말이다. 우리가 장미빛 전망을 내놓아도 월스트리트의 평가는 냉혹하기만 하다. .. 2016. 10. 28.
자산관리와 재무설계 IT 와 금융의 역사적 만남으로 로보어드바이저가 출시된다고 한다. 자산관리 서비스의 대중화에 앞장서겠다며 금융당국이 홍보에 열을 올리고 연일 신문기사 내용을 접한다. 그런데 자산관리란 무엇인지 명확하지가 않다. 통상 부유층을 대상으로 한 패밀리오피스 개념의 무료서비스로 인식을 하고 있거나 은행의 PB센터에서 멋진 사무실과 전문가들이 포진한 서비스라고 하지만 과연 자산관리 서비스는 무엇인가? 또한, 재무설계와 관계는 어떠한가? 한국에서는 금융상품을 기준으로 업을 나누고 있어 비슷한 용어를 들자면 투자자문서비스 나 투자일임 서비스 정도 일것이다. 여기에 변호사가 제공하는 상속관련된 내용과 세무사가 제공하는 양도, 상속 및 증여세 관련 상담 덧붙이고 있고 CFP가 자산관리 (Wealth Management) .. 2016. 10. 28.
우리들의 부모님은 어떤 형편이실까? 세계에서 가장 빈곤한 대한민국 노인 통계청과 국민연금연구원의 자료에 따르면 한국, 대만, 호주, 영국, 캐나다, 미국, 독일, 네덜란드, 폴란드, 덴마크, 핀란드, 노르웨이 등 국가의 65세이상 노인가구 소득수준을 비교 분석한 결과 한국이 46.9% 로 가장 빈곤한 국가로 평가 받았다. 26.6% 인 대만과 비교해도 거의 두배에 가까운 빈곤율이다. 한국을 경제대국으로 가게 만든 일등공신들인데 현실은 비참하다. 부모님을 봉양하며 평생을 살았지만 자녀들은 모시길 꺼려하는 세대이기도 하다. 우리를 위해 열심히 일한 분들이 이제는 당신들의 생존을 위해 열심히 일해야 한다는 것은 우리 사회의 무책임한 단면을 보는 것과 같다. 65세 이상 고령자 73.2%는 질병을 앓고 있다. 가장 많은 질병은 치매와 고혈압, 그.. 2016. 10. 27.